참여 & 소통

" 우리의 미래는 제주도민이 공동으로 이어가는 세계이여야 하며, 대등하게 세워가는 역사이여야 한다. 제주도 역시 이러한 미래의 역할을 강구하기 때문에, 보다 당당한 내일의 역사를 지향하기 때문에 반민주적이고 반자치적이며 반도적인 「제주도개발특별법」의 제정에 반대한다." - 1991년 「제주도개발특별법」제정 반대 범도민회결성선언문 중

회원게시판

  • 제목
  • 작성자
  • 비밀번호
  • 인증코드
    0754 박스 안의 인증 번호를 입력하세요.
  • 옵션
  • 첨부파일
    +최대 1개 까지 가능합니다. 최대용량은 5M 입니다.
  • 2007 제주민속문화의 해 제주어와 제주 민속의 변화 그리고 보존 일시 : 2007년 10월 11일 (목) ▪ 개 회 식 : 13:00~13:20 ▪ 학술대회 : 13:20~18:00 2007년 10월 12일 (금) ▪ 학술대회 : 10:10~17:30 장소 : 남서울프라자호텔 주회 : 제주특별자치도, 국립민속박물관 주관 : 제주특별자치도, 국립민속박물관 문의 :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과 (064) 710-3423 초대의 글 ‘2007 제주민속문화의 해’를 맞이하여 ‘제주어와 제주 민속의 변화 그리고 보존’을 위한 국제학술대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. 제주지역 문화의 정수를 담고 있는 제주어, 세계 각국의 지역어 보존 및 활용 정책과 비교 ․ 검토를 통해서 제주어로 표상되는 제주민속문화의 특수성과 보존 방안을 찾아보는 기회로 삼고자 합니다. 이를 토대로 제주민속문화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제주민속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문화관광자원화를 추진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. 민속문화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방안 찾기에 함께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. 2007. 9.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김 태 환 국립민속박물관장 신 광 섭 10월 11일 제1부 “제주어와 세계 지역어” ▪ 이상규 (국립국어원장) - 절멸 위기 언어의 보존 방안 ▪ Daniel Nuetzel (독일) - 세계문화의 흐름과 소수 언어의 보존 방향 ▪ 和麗峰 (중국) - 중국 정부의 운남성 소수민족 언어 보존 방향 ▪ 萩原左人 (일본) - 오끼나와 지역어와 민속 보존 방안 ▪ Ly Toan Thang (베트남) - 베트남 소수 민족 언어 실태와 소수 민족 언어 정책 ▪ 강영봉 (제주대학교) - 제주어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제도 ▪ 김귀배 (유네스코 한국위원회) - 제주어의 세계적 가치 발굴 전략 10월 12일 제2부 “제주 민속과 섬문화” ▪ 강권용 (국립민속박물관) - 제주민속문화의 해 조사 개요 및 특성 ▪ 고부자 (단국대학교) - 제주 민속 연구의 현황과 과제 ▪ 문무병 (제주전통문화연구소) - 제주도 정신문화의 본(本)이 되는 무속신화 ▪ 강정희 (한남대학교) -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제주 사회 변화와 제주방언의 변화 ▪ 좌혜경 (해녀박물관) - 제주도 구비문학의 전승 변이적 특성 ▪ 고광민 (제주대학교) - 牝午 와 牡午 2007 제주민속문화의 해 690-809 제주시 건입동 1038-5 (2층) Tel. 064) 710-3423

    ============= 답 변 ===============