후원회원
가입하기

활동소식




감시·대안·참여·연대를 지향합니다.

사업활동

  • 2010 오름 휴식년제 모니터링 소식
    2010-05-25  |  제주참여환경연대
    2010 오름 휴식년제 모니터링 소식생태안내자모임 '올레'지난 4월 9일은 도너리오름, 15일에는 물찻오름 을 모니터링 하였습니다. 도너리오름 모니터링에는 2010생태안내자 교육생들과 함께 하였습니다. 모니터링이 어떻게 이뤄지는지에 대한 방법과 실제현장에서 이뤄지는 사항들을 함께하면서 모니터링을 하였 ...
    자세히 보기
  • 자연과 공동체의 관계 속에서 찾는 행복한 경제
    2010-05-25  |  제주참여환경연대
    자연과 공동체의 관계 속에서 찾는 행복한 경제 제주생태관광 대표 고제량제주경제가 1차 산업과 3차 산업에 크게 의지한다는 것으로 볼 때 제주를 찾는 관광객 수는 제주도의 살림살이를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. 그렇다 한들 관광객 수만 세고 있을 수만도 없거니와 늘어난 관광객 ...
    자세히 보기
  • 중산간에 새로 지어진 산성(山城)을 보셨나요?
    2010-05-12  |  제주참여환경연대
    환경과 평화, 그리고 슬로시티중산간에 새로 지어진 산성(山城)을 보셨나요?며칠 전 서울의 지인으로부터 메일 한 통을 받았다. 불교환경운동을 하는 그 친구는 수경스님을 도와 4대강 반대 성명을 썼다고 하면서 다음의 글을 보내왔다.“4대강 사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계신지요? 우리 국토, 생태와 자연, 생 ...
    자세히 보기
  • [칼럼] 5년 동안 이 땅에 계셔야 합니다
    2010-04-27  |  제주참여환경연대
    5년 동안 이 땅에 계셔야 합니다 무소유. 요즘 법정 스님이 떠나고 난 뒤 우리들의 화두다. 스님이 떠나고 난 뒤의 세상은 어떻게 변했는가. 아무 것도 바뀌지 않았고 적멸이다. 법정 스님 이외에 숫한 성현이 오래 전부터 허무를 말했다. 그러나 진정 가지려면 주어야 한다고 했다.(將欲取之 必固與之) 비워야 ...
    자세히 보기
  • 자신의 삶을 찾아 떠난 여행에서 그려낸 제주풍경화
    2010-04-15  |  제주참여환경연대
    작년 11월 어느 날, 어떤 젊은 분이 진지한 모습으로 단체 사무실을 찾았습니다. 그는 자신이 조만간 제주에 관한 책을 낼 예정이라며, 책을 내게 되면 인세의 10%를 참여환경연대에 기부하고 싶다며 곧바로 협약서를 체결하자고 하였습니다. 그가 바로, 얼마 전 발간된 ‘제주 풍경화’란 제목의 책의 저자인 ...
    자세히 보기
  • 돈 많이 벌면 정말로 행복해질까?
    2010-03-22  |  제주참여환경연대
    “돈 많이 벌면 정말로 행복해질까?” 목요강좌 경제기획 첫 번째 강사로 나선 류재식 제주은행 성산포 지점장의 말이다. 제주 경제를 살리자는 취지의 기획 강좌에 나선 전문가의 일성이 “돈 많이 벌면 정말로 행복해질까?”라니 좀 이상하다. 류재식 지점장은 제주도가 돈이 없어 경제가 어려운 것이 아 ...
    자세히 보기
  • 참다운 제주발전, 제주사회 공론의 혁신부터
    2010-02-27  |  제주참여환경연대
    얼마 전 전국의 각 지역단체들이 모이는 회의에 참여차 전라북도 무주에 다녀왔다. 필자에게 무주는 심산유곡의 자연이 살아있는 곳으로 이미지화 돼 있었다. 그러나 정작 찾아 본 무주의 실태는 매우 안타까운 것이었다. 덕유산 국립공원내의 불야성 같은 상업시설들의 모습이야 국내 여느 국립공원의 그것과 ...
    자세히 보기
  • '새로운 것 들'의 조건
    2010-02-16  |  제주참여환경연대
    새해는 새로운 것들의 총체입니다. 그래서인지 새해인사는 기대의 말들로 충만합니다. 새해에 건네지는 “복받으세요”라거나 “부자되십시오”라거나 “소원성취 하십시오”와 같은 동서고금을 관통해 온 이 덕담들은 해가 바뀔때마다 늘 새로움의 기대로 전해집니다. 한 해, 두 해, 시간을 나누어 놓은 것도 ...
    자세히 보기
  • 천년의 섬, 막내 섬, 비양도 바라보기
    2010-02-03  |  제주참여환경연대
    옛날 바다를 떠 다니는 섬이 있었는데, 사람들이 그것을 보고 ‘아, 섬이 날아 다닌다’라고 외치자 섬이 바다에 내려앉으면서 만들어졌다는 전설이 있습니다. 마치 천공의 섬 ‘라퓨타’를 연상시키는 신비한 이야기입니다. 그런데 그 섬이 비양도입니다. 한자로 날 비(飛), 날 양(揚), 섬 도(島)를 써서 말 그대로 ...
    자세히 보기